인류가 사라져 지구에 도착한 외계 생명체가 발견하게 될 것은 기록이지 기억은 아니다. 이는 고고학자가 유적지에서 발견하는 것이 그 시대를 산 사람들의 기억이 아니라 기록인 것과 같다. 아무리 유능해도 기억을 발굴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기억은 그 순간 맞닥뜨린 상황 속에서 생각을 통해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가치가 작동한 결과가 기록일 뿐 정작 가치는 기억들이 소통하며 만날 때 생성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도 인류는 이제 인공지능이 가치 생성까지 담당한다고 믿으며 생각하는 능력까지 놓으려 하는 듯 보인다.
인공지능은 빅데이터 기록을 활용해 분석하고 판단해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하기에 많은 직업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저마다 자신의 직업은 디지털 시대에도 끄떡없다고 믿고 싶겠지만 엄청난 해일에도 자신의 건물만은 끄떡없다고 믿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해일의 경우 참혹한 결과에도 생존하기만 한다면 물론 어렵지만 재해 지역에서 벗어나 다른 곳에 정착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해일은 피신해서 정착할 안전한 피난처를 허락하지 않는다. 디지털 해일을 일으키는 인공지능은 지구상에서 생성되는 거의 모든 데이터를 갖고 엄청난 가치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디지털 해일이 쓸고 가는데 안전한 구석이 어디 있겠는가. 나라를 침략해 모든 것을 앗아가는데 내 것만 아니면 괜찮다는 약삭빠른 비겁함도 이번에는 소용없을 것이다. 길은 딱 하나밖에 없다.
인공지능 기술이 이해하지 못하는 차원으로 떳떳하게 맞서야 한다. 인공지능이 갖지 못하는 유일한 능력은 ‘기억’이다. 기억은 기록이 생성되는 상황에서 개인 차원의 생각을 통해 남겨진다. 인류는 지금껏 온갖 어려운 환경에서도 기어코 생존했고, 이를 유전자 기록을 통해 기억하고 있다. 기억의 힘은 유전자를 통해 후손에게 전달된다. 유전자 코드는 분석하면 밝혀지지만, 유전자를 안다고 해서 유전자의 진화를 만든 기억까지 알 수는 없다. 인공지능은 유전자 기록을 손쉽게 파악하지만, 기억의 서사까지는 알아내지 못한다. 기억이 인공지능의 유일한 아킬레스다. 하지만 기억은 기록될 수 없고 모든 이의 기억은 다르다. 이런 연유로 기억은 소중하지만, 기록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의심해야 한다. 기억에 의존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지만 기록을 인공지능에 빼앗긴 인류에게 별다른 대안이 없어 보인다.
인공지능은 자신이 모든 기록을 가지고 있다는 것 또한 알고 있다. 절세미인이 자신이 예쁘다는 것을 아는 것과 같다. 자신이 예쁘다는 것을 무기로 삼으면 큰일이다. 양귀비가 아니라 노년에 아프리카 어린이와 함께 보낸 오드리 헵번 같은 인공지능을 만들려면 인류는 기억을 소중히 다룰 줄 알아야 한다.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과 인류의 기억이 함께 가치를 만드는 코드를 인류가 찾아내지 못한다면 인공지능이 만드는 가치만이 세상을 뒤덮을 것이다. 그런 세상이 재앙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믿음을 “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로 바꿔야 할지도 모른다.
<본 칼럼은 2023년 12월 8일 서울신문“[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인공지능의 아킬레스”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