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News Center UNIST News Center
KOREAN ENGLISH
  • HOME
  • 콘텐츠
    • 전체기사
    • 뉴스
    • 피플
    • 연구
    • 지역사회 공헌
    • 기고
    • 언론 속 UNIST
    • “당신이 있어 2020 UNIST가 밝게 빛났습니다” 2 시간 전
    •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이온 이동 특성 규명! 3 일 전
    •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6 일 전
    View all
    • UNIST, ‘울주 더 드림 캠퍼스’ 참가자 모집! 2 주 전
    • “산재, 이젠 첨단기술로!”… UNIST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센터 개소 3 주 전
    • UNIST-울산동구노인복지관, 노인건강 증진 위해 손잡다! 3 주 전
    View all
    • “당신이 있어 2020 UNIST가 밝게 빛났습니다” 2 시간 전
    •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6 일 전
    • “고향의 대기오염 해결에 도전합니다!” 7 일 전
    View all
    •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이온 이동 특성 규명! 3 일 전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경신! 1 주 전
    • 손으로 조절하는“양자현상”… 새로운 메타물질 변형 기술 나왔다! 1 주 전
    View all
    • UNIST, 울산 제조기업 혁신 도울 ‘제조 AI 데이터셋’ 공개! 4 개월 전
    • UNIST 레오 클럽, 울산 학생들에 코딩 교육 봉사 5 개월 전
    • UNIST-울산도시공사, 울산 마이스 산업 육성에 힘 모은다! 11 개월 전
    View all
    •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6 일 전
    • [곽영신의 색채이야기(4)]인터넷 쇼핑으로 물건 색 고르기 1 주 전
    • [과학에세이] 탄소중립 시대 석유 산업의 방향 1 주 전
    View all
    • “AR·VR로 비대면 실습, 대학교육 실험” 11 개월 전
    • [파워리더 인터뷰]“권역별 회의체 만들어 소통 강화… 질적 성장에 집중하겠다” 11 개월 전
    • 모바일앱 디자인 AI가 돕는다 11 개월 전
    View all
  • 온라인 기자실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뉴스센터 안내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
Menu
  • HOME
  • 콘텐츠
    • 전체기사
    • 뉴스
    • 피플
    • 연구
    • 지역사회 공헌
    • 기고
    • 언론 속 UNIST
    • “당신이 있어 2020 UNIST가 밝게 빛났습니다” 2 시간 전
    •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이온 이동 특성 규명! 3 일 전
    •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6 일 전
    View all
    • UNIST, ‘울주 더 드림 캠퍼스’ 참가자 모집! 2 주 전
    • “산재, 이젠 첨단기술로!”… UNIST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센터 개소 3 주 전
    • UNIST-울산동구노인복지관, 노인건강 증진 위해 손잡다! 3 주 전
    View all
    • “당신이 있어 2020 UNIST가 밝게 빛났습니다” 2 시간 전
    •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6 일 전
    • “고향의 대기오염 해결에 도전합니다!” 7 일 전
    View all
    •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이온 이동 특성 규명! 3 일 전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경신! 1 주 전
    • 손으로 조절하는“양자현상”… 새로운 메타물질 변형 기술 나왔다! 1 주 전
    View all
    • UNIST, 울산 제조기업 혁신 도울 ‘제조 AI 데이터셋’ 공개! 4 개월 전
    • UNIST 레오 클럽, 울산 학생들에 코딩 교육 봉사 5 개월 전
    • UNIST-울산도시공사, 울산 마이스 산업 육성에 힘 모은다! 11 개월 전
    View all
    •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6 일 전
    • [곽영신의 색채이야기(4)]인터넷 쇼핑으로 물건 색 고르기 1 주 전
    • [과학에세이] 탄소중립 시대 석유 산업의 방향 1 주 전
    View all
    • “AR·VR로 비대면 실습, 대학교육 실험” 11 개월 전
    • [파워리더 인터뷰]“권역별 회의체 만들어 소통 강화… 질적 성장에 집중하겠다” 11 개월 전
    • 모바일앱 디자인 AI가 돕는다 11 개월 전
    View all
  • 온라인 기자실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뉴스센터 안내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
Home 경상일보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경상일보] 정두영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칼럼

약물치료를 두려워 할 이유는 없어 실천가능한 목표로 성취감 느껴야 반복된 실패로 인한 우울 극복 가능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2020년 국내 통계에 의하면 우울증과 조울증 등의 기분장애 환자가 100만명을 넘었다고 합니다. 4년 사이 30.7%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 중에 20대가 17%로 가장 많았습니다. 북미에서는 1년 동안 남성의 3~5%, 여성의 8~10%가 우울증을 겪는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사... 더보기

2021.04.09By 정 두영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인공지능 기술의 명과 암

[경상일보] 이정혜 산업공학과 교수 칼럼

딥페이크 활용 합성영상 인기 이면 음란물·사기 등 신종범죄도 잇따라 기술악용 피해예방 대책 마련 시급

인공지능 기술의 명과 암

‘마이야히 마이야후~’ 2003년에 몰도바의 댄스 그룹 ‘O-Zone’이 발표한 히트곡 ‘Dragostea Din Tei’는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노래로, 최근 이 노래에 맞춰 특정 인물의 얼굴이 코믹하게 춤을 추는 영상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더보기

2021.03.29By 이 정혜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대비하자

[경상일보] 김학선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 미래차연구소장 칼럼

벤처기업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대기업의 융복합 능력과 연계해 키워나갈 제도적 준비·정책 시급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대비하자

우리는 정보의 디지털화라는 말을 자주 듣고 있다. 이 뜻을 잘 이해하고 대처해야 10년 후의 세상을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근본은 아날로그(Analog)신호에서 출발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된 신호이고 자연 그대로의 신호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는 컴퓨터에서 처리할... 더보기

2021.03.24By 김 학선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정연우칼럼]Trans Value 가치의 변화

[경상일보] 정연우 UNIST 디자인학과 교수 칼럼

착한 척, 있는 척 시늉으론 미흡 ‘멋짐력’으로 사용자 감동 끌어낸 엘런 머스크의 가치 변화에 주목

[정연우칼럼]Trans Value 가치의 변화

소자본 개인 투자자를 일컫는 동학개미에 덧붙여 서학개미라는 재미난 단어가 있다. 해외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소자본 개인을 뜻하는데, 요즘 서학개미들의 핫템이 테슬라다. 기관 아닌 개인이라 해외 기업 테슬라에 대한 고급 정보가 부족하니 거의 ‘묻지마’급 투자다. 단차의 불량이 발생한 품질과 자율주행 구설수,... 더보기

2021.03.16By 정 연우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정두영의 마음건강(13)]괴롭힘에 대해 우리가 가져야 하는 자세

[경상일보] 정두영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칼럼

불쾌감 주는 말이나 행동은 피하고 마음의 상처 타인과 상의하면 도움 주변 아픔에도 귀 기울일줄 알아야

[정두영의 마음건강(13)]괴롭힘에 대해 우리가 가져야 하는 자세

요즘 다양한 괴롭힘 관련 폭로 소식이 들려옵니다. 운동선수에서 연예인으로 번진 학교폭력이나 간호사의 직장내 괴롭힘 뉴스가 대표적입니다. 영국 왕실에서 태어날 아기의 피부색을 언급하며 차별을 받았다는 인터뷰를 수천만명이 시청했습니다. 코로나 영웅으로 인기 높던 미국의 주지사가 연이은 성희롱 폭로로 수사 대... 더보기

2021.03.12By 정 두영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곽영신의 색채이야기(3)]빨간색과 초록색을 섞으면?

[경상일보] 곽영신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칼럼

[곽영신의 색채이야기(3)]빨간색과 초록색을 섞으면?

빨강과 초록을 섞으면 어떤 색이 돼요? 파랑과 노랑은요? 필자의 아이들이 어린이집을 다닐 무렵이었을 것이다. 엄마가 색에 대한 연구를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준 후 아이들이 엄마를 시험하기 위해 끊임없이 물었던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은 색채 과학자 엄마는 조심스레 다시 물어봐야 한다. 빛을 섞는 경... 더보기

2021.03.03By 곽 영신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인간과 인공지능이 양립 가능하려면

[경상일보] 이정혜 산업공학과 교수 칼럼

인공지능 기술 발전 가속화되며 인간과 양립하는 시대 도래할 것 공생방안에 대한 고민 시작해야

인간과 인공지능이 양립 가능하려면

시민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특강을 하게 될 기회가 종종 있는데 인공지능 사례들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다 보면 공통적으로 받는 질문이 있다. 그 질문은 바로 “인공지능이 비록 보고 듣는 인지 능력이나 체스, 바둑과 같은 연산 능력에 대해서는 인간과 비슷하거나 뛰어날 수 있을지라도 창작 활동, 공감은 인간만이... 더보기

2021.02.24By 이 정혜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무지개는 또 뜬다

[경상일보] 김학선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 미래차연구소장 칼럼

여러 색이 공존하는 무지개처럼 이분법적인 사고와 논리 벗어나 다양한 관점서 판단하는 노력을

무지개는 또 뜬다

사람의 눈에는 밝기를 구분하는 간상세포(rod cell)와 색깔을 구분하는 원추세포(cone cell)가 있다. 즉 인간의 눈은 밝기와 색상에 따라서 사물을 인지하고 구별하게 된다. 그런데 색깔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빛의 삼원색과 물감의 삼원색을 알아야 한다. 빛은 여러 종류의 파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더보기

2021.02.18By 김 학선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정연우칼럼]Trans Concept 개념의 변화

[경상일보] 정연우 UNIST 디자인학과 교수 칼럼

애플카 협업관련 이슈 시장예측 난무 자동차 개념에만 갇힌 분석에 경각심 개념의 변화 인지못하면 결국 뒤처져

[정연우칼럼]Trans Concept 개념의 변화

대학원생이던 2003년, 세계 1위 MP3기업 대표가 학교에서 세미나를 했다. 김영세라는 스타디자이너의 손을 거친 프리즘 스타일 초미니 조이스틱 MP3플레이어는 디자인으로나 성능으로나 흠잡을데 없는 완전체였다. 멋진 프레젠테이션 후 질의응답시간. 한 친구가 질문했다. “애플에서 아이팟을 내놓았는데, 어떻... 더보기

2021.02.16By 정 연우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곽영신의 색채이야기(2)]무지개색

[경상일보] 곽영신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칼럼

[곽영신의 색채이야기(2)]무지개색

국내 색채과학 핵심 연구자로 필자를 포함한 세명의 아줌마 교수들이 있다. 얼마전 세명의 채팅방에 한 분이 질문을 올렸다. ‘인간이 구분할 수 있는 무지개색이 최대 207색이라는 말 들어 보셨어요?’ ‘설마요, 여섯 개 아닌가요?’ 무지개는 모든 사람들이 굉장히 잘 알고 있고 익숙한 현상이지만, 동시에 일... 더보기

2021.02.03By 곽 영신기고, 피플
Share 0
Tweet 0
Share 0
123›»

Global News

  • Novel membrane-free Mg-CO2 battery sequesters CO2 and generates electricity
  • [Green Car Congress]Mar,22, 2021

  • New Study Introduces Ultraflat Sub-10 Nanometer Gap Electrodes for Two-Dimensional Optoelectronic Devices
  • [Mirage News]Apr,1, 2021

  • Fountain of youth for nickel-rich Li-ion cells
  • [Electronics Weekly]Mar,19, 2021

Popular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경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

    Apr 08, 2021
  • 손으로 조절하는“양자현상”… 새로운 메타물질 변형 기술 나왔다!

    손으로 조절하는“양자현상”..

    Apr 07, 2021
  •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이온 이동 특성 규명!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

    Apr 12, 2021

Newsletter

이메일 뉴스레터 구독신청하기

  • UNIST Daily
  • UNIST Newsletter
  • For Journalists

Hot Video

스마트 부이 개발

UNIST Photo

    Loading..
logo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저작권보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
대표전화:052-217-0114 /입시상담:052-217-1120
  • 콘텐츠
    • 뉴스
    • 피플
    • 연구
    • 포토&비디오
    • 기고
    • 언론 속 UNIST
  • 온라인 기자실
    • 보도자료
    • 한눈에 보는 UNIST
  • 뉴스센터 안내
    • UNIST Newsletter
    • 뉴스제보하기
    • 뉴스 & 커뮤니케이션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