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은 이미 새로운 말이 아니다.빅데이터, 로봇,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한 초지능·초연결사회를 말한다. 2016년 1월 슈밥 다보스포럼 회장이 처음 언급한 후 벌써 2년 이상이 지났다.
울산시도 제조업중심의 4차 산업혁명 혁신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경제는 아직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지난 주 새 울산시정이 발족했다. 새 울산시정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무엇보다도 울산경제의 조속한 회복일 것이다. 그래서 그동안 구축된 4차산업혁명 기반을 통한 혁신성장의 기조는 새 시정에서도 계속돼야 하겠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도 그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제조업 중심의 스마트공장에서 출발해 자율주행 자동차 등 산업의 흐름을 바꿔 놓은 혁신 기술이 이미 경제·사회·문화 등 인간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슈밥 회장도 최근 저서 <제4차산업혁명-THE NEXT>에서 ‘가치 중심적이고 인간 중심’의 4차산업혁명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4차산업혁명 혁신위원회’도 사람중심의 4차산업혁명을 기조로 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 과정에서 일자리 감소, 디지털격차 등 새로운 경제적 불평등으로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4차산업혁명이 인간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사람이 과학기술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렸다. 얼마 전 작고한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미래의 충격>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은 기하급수적인데 비해 인간의 적응력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충격이 나타난다”고 했다. 신기술을 따라잡는(Catch-up) 사람은 살아남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도태된다. 기술발전으로 인한 ‘신(新) 빈곤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식의 격차가 새로운 형태의 소외계층을 만들어 내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적 자본이 빈부격차를 초래해 왔다면 이제는 지식자산이 물적 자본을 대체하고 있다. 물적 자본이 없던 사람들도 빠르게 변하는 지식자본을 축적하면 소위 계층상승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자본주의 제도를 탓하고 결과의 평등을 요구한다면 우리나라 경제는 경쟁력을 잃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 모두 첨단지식을 따라 잡고 지식자본을 축적해야 한다. 그래야 생산성이 올라가고 분배의 원천인 경제의 파이가 성장한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지적 할 점이 있다. 지식획득의 기회가 공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식의 확산이 대기업, 부유층 등 ‘가진 자들’ 중심으로 이뤄져서는 안된다.
현장인력, 특히 중소기업 인력들은 “신기술 따라잡기가 가장 힘들다”고 토로한다. 이들에 대한 신기술 따라 잡기 교육프로그램이 확대돼야 한다. 온라인(On-line) 대중교육시스템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래야 짧은 시간에 첨단지식 교육의 대중화가 이뤄질 수 있다. 앞으로 경제성장은 물적 자본보다 인적자본이 더 중요하다.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경영학자, 드러커(Peter Drucker) 등 많은 학자들이 앞으로 지식근로자 중심의 ‘지식자본주의’의 도래를 이미 예견했다.
지난 3월 울산 남구 두왕동 울산테크노산업단지내에 울산형 실리콘밸리 구축의 첫 단계로 산학융합지구가 들어섰다. 주변 온산 및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1만명이 넘는 현장인력이 있다. UNIST는 산학융합캠퍼스단을 발족하고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이 이미 이주해 기술경영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첨단지식교육의 대중화는 기술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빈부격차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다.
모두가 혜택받는 4차산업혁명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신기술·경영교육에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울산시정이 교육기관과 협력해 ‘4차산업혁명 관련 첨단지식’교육의 대중화에 앞장섰으면 한다. 그것이 울산 경제회복의 지름길이다.
정구열 UNIST 산학융합캠퍼스 단장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본 칼럼은 2018년 7월 10일 경상일보 18면에 ‘[정구열 칼럼]모두를 위한 4차산업혁명’이라는 제목으로 실린 것입니다.>